안동과/낙엽활엽 관목 / 3m / 전국/ 양지~음지


연간계획


번식 : 1~2월: 심기 / 3~4월 : 파종,숙지삽 / 6~7월:녹지삽


꽃/열매 : 5~6월중순까지 : 꽃 / 9~10월 중순까지 : 열매


전정 : 1~2월 : 솎아내기 / 6월~7월 중순까지 : 가지치기 /12월: 솎아내기

수확/비료 : 3월 : 비료 / 4~8월: 약용 줄기 ,약용 잎 수확 / 9~10월 : 약용 열매 수확


토양: 내조성 : 강 / 내습성 : 중 / 내한성 : 강 / 공해 : 강




중부 이남의 깊은 산이나 숲 속에서 자란다. 나무 껍질 이나 가지가 검은 나무라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.



특징 : 가막살나무는 전체에 털이 있고, 산가막살나무에는

털이 적거나 없다. 5~6월 가지치 끝에 흰색 꽃이 모여 핀다.



이용: 잎,줄기,열매를 부종,청열,발열,감기,소아감적,피부염,항암 등에 약용한다.



환경: 비교적 촉촉한 토양에서 잘 자라고 성장 속도는 보통이다. 공해에 강해

도시공원의 조경수로 많이 보급하고 있는 추세이다.



조경: 독립수 , 산울타리 , 큰 나무 하부에 식재한다. 음지에 식재하면 꽃이 불량하고 군락으로 군식하는 것이 좋다. 음지에 식재하면 곷이 불량하고 군락으로 군식하는 것이 좋다 .

늦봄에 흰색 꽃을 가을에는 빨간 열매를 관상할 수 있다.



번식: 가을에 채취한 종자의 과육을 제거하고 건조시킨 후

모래와 섞어 노천매장 뒤 이듬해 봄에 파종하면 2년 뒤 발아한다. 보통 삽목과 취목으로 번식한다.



병충해: 병충해 비교적 강하다.



가지치기 : 약간 잡목처럼 자라고 잔가지가 많지만 가지치기를 하지 않고 자연 수형으로 기르는 것이 좋으며, 가지치기는 꽃이 지면 바로 실시하는데 늙은 가지, 죽은 가지를 잘라내 통풍이 잘 되도록 하고 젊은 가지가 많이 돋아나도록 한다.

또한 뿌리에서 올라온 잔가지를 전지한다. 꽃은 전년도 잎눈이 당해에 새 가지로 자란 뒤 그 가지 끝에 달린다.



열매보다 꽃이 좋은 관상수


꽃사과나무


장미과/낙엽활엽 소교목 / 4~8m / 전국 / 양지


연간계획


번식 : 3~4월 : 종자,숙지삽,심기  / 8월 : 종자 / 10~11월 : 심기

꽃/열매 : 8월 : 열매

전정 : 1~2월 :솎아내기 / 6~7월중순 :가지치기 / 7월중순~8월 : 꽃눈분화 / 12월 :솎아내기

수확 / 비료 : 8월 : 열매수확 



토양 내조성 : 약 / 내습성 : 중 / 내한성 : 강 / 공해 : 중 



아시아와 북미 원산의 꽃나무이다. 다양한 폼종이 있으며 품종에 따라 열매의 크기가 조금씩 다르다. 벚꽃이 질 무렵에 흰색 또는 연한 홍색의 꽃이 가지 끝에 가득 핀다. 최근에는 중국산 외 북미산 품종 등 다양한 개량품종이 나오고 있다.



특징: 사과나무와 비슷하나 상대적으로 크고, 9~10월에 50원짜리 동전만한 작은 사과 열매가 열린다. 단맛보다는 신맛이나 떫은 맛이 많이 난다.


이용 : 열매는 식용할 수 있고 보통 잼으로 만들어먹고 , 사과와 비슷한 효능이있다.


환경: 비옥한 점질양토에서 잘 자란다.


조경 : 도시공원과 아파트 , 학원 ,펜션 등의 심볼트리나 산울타리 , 가로수로 식재한다. 감나무나 대추나무처럼 인기가 높아 주택의 대표적인 관상소로 사용한다.


번식 : 열매의 과육을 제거한 뒤 종자를 직파하면 늦겨울 또는 1년 뒤 발아한다. 또는 젖은 모래와 섞어 노천매장한 뒤 이듬해 봄에 파종한다. 삽목,접목도 가능하다.


병충해 : 탄저병, 겹무늬썩음병,붉은별무병, 점무늬낙엽병,줄기마름병 등이 있다. 향나무속 수종과 혼식하지 않는다.


가지치기 : 기본 수형을 만들 떄 원정형 ~ 평정형으로 수형을 잡는다. 웃자란 가지,교차 가지 , 밀집 가지 정도만 전정한다. 가지치기 할 때는 분기점 위나 눈 에서 자른다.




'조경수 도감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가막살나무 설명  (0) 2019.02.08

+ Recent posts